[알고리즘] 매개변수 탐색(Binary, Parameter Search)
매개변수 탐색 (Parameter Search)
최적화 문제에서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이다. 특히,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서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최대값이나 최소값을 찾는 문제에 자주 사용된다. 이진 탐색(Binary Search)을 활용하여, 문제의 해답 범위를 점차 좁혀가며 최적의 값을 찾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매개변수 탐색은 주로 “결정 문제”(decision problem) 형태로 변환하여 해결한다.
매개변수 탐색 과정
결정 문제 정의: 원래 문제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가?’ 형태의 결정 문제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최대 무게 제한을 x로 했을 때, 모든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가?’와 같은 형태이다.
탐색 범위 설정: 매개변수(결정 문제의 조건)에 대한 탐색 범위를 설정한다. 이 범위는 문제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최소값과 최대값을 기준으로 시작한다.
이진 탐색 실행: 설정한 탐색 범위 내에서 이진 탐색을 실행하여, 결정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매개변수 값을 찾는다. 탐색 범위를 절반씩 줄여가며, 조건을 만족하는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찾아간다.
최적값 확인: 이진 탐색을 통해 결정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매개변수의 최적값을 찾았다면, 그 값을 원래 문제의 해답으로 사용한다.
매개변수 탐색의 장점
- 효율성: 결정 문제로 변환하여 이진 탐색을 사용하기 때문에, 탐색 과정이 매우 효율적이다. $O(\log 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질 수 있다.
- 적용성: 다양한 최적화 문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분 탐색 & 매개변수 탐색 알고리즘 문제
- 특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는 변수의 최소값 혹은 최대값을 찾는다.
-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따라 탐색 범위를 정하고, 이분 탐색을 이용하여 목표값을 찾는다.
- 최소값을 찾는 경우 이분 탐색의 start(left)값이, 최대값을 찾는 경우 end(right) 값이 답이 된다.
- 작성하는 코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백준 1654: 랜선 자르기
- 문제 설명
- k개의 랜선들의 길이와, 이 랜선들을 잘라서 만들어야 하는 같은 길이의 랜선 수 N이 주어진다.
- 같은 길이로 자른 후 남은 랜선들은 버린다.
- N개를 만들 수 있는 랜선의 최대 길이를 구한다.
- 풀이
- 랜선의 최대 길이가 될 수 있는 탐색 범위를 정한다.
- 랜선의 최대 길이를 매개변수로, 해당 길이로 랜선을 잘랐을 때 N개가 만들어지는지 확인한다.
- N개 이상 만들어지면 랜선을 너무 짧게 잘라서 버려지는 부분이 늘어난 것일 수 있으므로 mid값 이상으로 랜선의 길이에 대한 탐색범위를 늘리고, 만들어지지 않으면 랜선을 너무 길게 자른것이므로 mid값 아래로 길이를 줄이면서 이분탐색한다.
- 최댓값을 구하고 있기 때문에 아래 코드에서는 right값이 답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k, n = map(int, input().split())
lines = [int(input()) for _ in range(k)]
def binary_search(arr, target):
left, right = 1, max(arr)
while left <= right:
mid = (left + right) // 2
count = 0
for i in arr:
count += i // mid
if count < target:
right = mid - 1
else:
left = mid + 1
return right
print(binary_search(lines, n))
백준 2805: 나무자르기
- 문제 설명
- 한 줄에 위치한 n개의 나무들의 높이와 필요한 만큼의 나무의 길이의 합인 m미터가 주어진다.
- 절단기의 높이의 최대값인 h를 구한다.
-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리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는다.
- 풀이
- 절단기의 높이 h가 될 수 있는 범위를 구한다.
- 이분 탐색을 통해, 절단기의 높이를 가정하고 그 경우 잘린 나무들의 길이 합이 m이상인지 확인한다.
- m 이상을 만족하면 절단기를 위로 올려서 나무들을 덜 잘라도 되는 것이므로 mid값 위로 탐색범위를 조정하고, m 이상을 만족하지 않으면 절단기를 내려서 더 잘라야 하므로 mid값 아래로 탐색범위를 조정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import sys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trees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def binary_search(arr, target):
start, end = 0, max(arr)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sum = 0
for i in arr:
if i > mid:
sum += i - mid
if sum >= target: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return end
print(binary_search(trees, m))
백준 16564: 히오스 프로게이머
- 문제설명
- 각 레벨이 $X_i$인 캐릭터 n개와 앞으로 올릴 수 있는 레벨의 최대 총합 k가 주어진다.
- $T = \min(X_i)$로 정의되는 팀 목표레벨 T의 최대값을 구한다.
- 레벨을 총합 K보다 적게 올릴 수도 있다.
- 풀이
- 팀 목표레벨은 모든 캐릭터의 레벨 중 최소값이 되므로 탐색범위에서 start값은 min(arr)으로, 최대값은 min(arr) + k으로 정한다. mid는 팀 목표레벨을 가정한 값이 된다.
- 모든 캐릭터의 현재 레벨에서 레벨이 mid보다 낮은 경우만 mid까지의 차이를 모두 더한다.
- 더 필요한 레벨의 합이 k보다 낮다면 목표레벨이 너무 높인 것이므로 end값을 mid아래로 낮추고, 그렇지 않다면 start값을 mid위로 올리는 방법으로 이분탐색을 수행해 최종적으로 구해지는 최대값 end를 리턴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import sys
n, k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level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n)]
def target_level(arr, k):
start, end = min(arr), min(arr) + k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total_needed = sum(max(mid - x, 0) for x in arr)
if total_needed > k:
end = mid - 1
else:
start = mid + 1
return end
print(target_level(level, k))
백준 2110: 공유기 설치
- 문제 설명
- 수직선 위에 놓여진 n개의 집의 좌표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주어지고, 공유기의 개수 c가 주어진다.
- n개의 집에 c개의 공유기를 배치한다.
- 공유기 사이의 거리들 중 최소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고, 이때의 최소값을 구한다.
- 풀이
- n개의 집의 좌표들을 순서대로 정렬한다.
- 공유기들을 최대한 멀리 떨어뜨려야 하기 때문에 가장 앞과 뒤에 있는 집에 공유기를 배치한다.
- 가장 앞과 뒤의 집의 좌표 차이가 공유기들 간 거리의 최대값이 되고, 최소값은 1로 지정한다.
- 공유기들간의 최소 거리를 지정하고, 이 경우 n개의 집 사이의 거리가 이 최소거리를 만족하면서 c개의 공유기를 배치할만큼의 거리가 되는지를 확인하는 반복문을 작성한다.
- 공유기가 배치된 마지막 위치와 공유기가 놓인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를 만든다. (가장 앞에 위치한 집에 공유기를 배치하므로 마지막 위치의 초기값은 가장 앞에 위치한 집의 좌표가 된다.)
- 다음 집들을 탐색하면서 공유기가 놓인 마지막 위치로부터 최소거리 이상인 위치에 떨어져 있는지 확인한다. 이 경우 공유기를 배치하고 마지막 위치를 갱신하며 놓인 공유기의 개수에 +1 한다.
- 반복문이 끝난 후 놓여진 공유기의 개수가 c이상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 이분 탐색을 통해 만족한다면 최소거리를 mid값 위로 늘리고, 만족하지 않는다면 mid값 아래로 줄이면서 이러한 최소거리의 최대값을 구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import sys
n, c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house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n)]
house.sort()
def max_distance(arr, target):
start, end = 1, arr[-1] - arr[0]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count = 1
last = arr[0]
for i in range(1, len(arr)):
if arr[i] - last >= mid:
last = arr[i]
count += 1
if count >= target: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return end
print(max_distance(house, c))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